반응형
Theorem
구간 [a, b]에서 정의된 임의의 함수 f에 대하여, a로부터 b까지 f의 정적분은 다음과 같다.
여기서 xi-xi-1=Δx이고 계산점 ci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3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.
함수의 평균값
임의의 구간 [a, b]에서 함수 f의 평균값을 계산하기 위하여 먼저 함수값의 표본을 추출할 몇개의 점들을 택하고, 다음과 같이 [a, b]의 분할을 만든다.
여기서 인접한 점들의 차는 다음과 같다.
이 때 평균값 fave는 x1,x2, ..., xn에서 함수값의 평균에 의해 다음과 같은 근사값으로 계산한다.
마지막 식의 합이 리만합이다. 또한 더 많은 표본점들을 택하면 근사값이 더욱 정확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. 따라서 n→∞일 때 평균값을 나타내는 적분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.
unweighted average 개념을 이용한 조금더 일반적으로 표현한 평균은 다음과 같다. (참고 링크 : http://woof.tistory.com/468)
반응형
'Major > Ma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평균 : average, mean, median, mode (0) | 2011.10.24 |
---|---|
쌍곡선 함수 공식 (Hyperbolic Relations) (0) | 2010.02.17 |
정방 행렬의 종류 (types of pattern in square matrices) (1) | 2009.09.17 |
적분 공식 (적분 테이블) (2) | 2008.09.02 |
[펌] Ergodic Process, 랜덤 프로세스 (0) | 2008.06.15 |
댓글